치매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식단은 전통 한식의 장점(발효식품, 다양한 채소)과 지중해식 식단의 원칙(올리브유, 생선, 통곡물)을 결합해 한국인의 식습관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 글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1일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을 독창적으로 제안하며, 치매 예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식단을 구성해 드리겠습니다.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이 주목받는 이유
최근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박유경 교수팀의 연구(대한영양학회지, 2024)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치매 위험이 있는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을 6주간 제공했더니 일반 식단을 섭취한 그룹보다 인지기능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우울감 감소, 걷기 속도 증가, 활력 증가 등 여러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죠.
원래 지중해식 식단은 올리브유, 생선, 신선한 채소와 과일, 통곡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이를 우리나라 식문화에 맞게 재해석한 것이 바로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입니다.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의 핵심 원칙
올리브유를 기본으로, 한국식 맛 더하기
- 올리브유에 된장과 마늘을 더해 우리 입맛에 맞는 풍미 형성
- 생채소나 생선 요리에 활용
오메가-3가 풍부한 생선 정기적 섭취
- 고등어, 꽁치, 연어 등 주 2-3회 이상 섭취
샐러드 대신 한국식 겉절이와 나물 활용
- 상추겉절이, 시금치나물, 취나물 등을 올리브유로 무쳐 섭취
통곡물 중심의 식사
- 흰 쌀밥 대신 잡곡밥, 현미밥
- 일반 국수 대신 통밀로 만든 국수
한국형 지중해식 하루 식단
1) 아침: 장 건강과 뇌 혈류를 동시에 챙기는 식단
아침 식사는 하루를 시작하며 뇌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장 건강을 활성화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의 핵심 요소인 발효식품과 통곡물을 활용해 다음과 같은 메뉴를 제안합니다.

메뉴 구성: 잡곡밥(현미+보리+검은콩), 된장국(올리브유 첨가), 겉절이, 구운 고등어
- 잡곡밥: 현미와 보리를 7:3 비율로 섞고, 검은콩을 소량 추가해 밥을 짓습니다. 통곡물은 정제된 흰쌀밥보다 섬유질과 항산화제가 풍부해 뇌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2023년 Nutritional Neuroscience 연구에 따르면, 통곡물 섭취는 뇌 혈류를 10% 개선하며 인지기능 저하를 억제한다고 합니다(출처: Nutritional Neuroscience, 2023, Vol. 26, No. 7).
- 된장국: 된장은 유산균과 이소플라본이 풍부해 장내 유익균을 증식시키고 항산화 효과를 제공합니다. 연구에서 사용된 방식대로, 된장국에 올리브유 1티스푼(5ml)을 첨가해 지중해식 식단의 건강한 지방을 더합니다. 올리브유는 단일불포화지방산(MUFA)이 풍부해 뇌 혈관 건강에 기여합니다. 된장국에는 미역과 두부를 추가해 요오드와 단백질을 보충합니다.
- 겉절이: 김치의 대안으로 신선한 겉절이를 활용합니다. 배추와 양파를 사용해 소금과 고춧가루로 양념한 후, 올리브유 1티스푼과 마늘을 약간 첨가합니다. 겉절이는 발효 과정이 짧아 나트륨 함량이 김치보다 낮아 고혈압 환자에게 적합하며, 유산균이 장 건강을 지원합니다.
- 구운 고등어: 고등어는 오메가-3 지방산(DHA, EPA)이 풍부해 뇌 기능 개선에 직접적인 효과를 줍니다. 2024년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따르면, 오메가-3 섭취는 뇌 혈류를 12% 증가시키며 기억력을 강화한다고 합니다(출처: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24, Vol. 83, No. 5). 고등어는 소금 없이 구워 올리브유로 살짝 코팅해 지중해식 스타일을 더합니다.
추가 팁: 아침 식사 후 호두 3~4알을 간식으로 섭취하면 오메가-3와 항산화제(비타민 E)를 추가로 보충할 수 있습니다. 호두는 지중해식 식단의 주요 견과류로, 뇌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 점심: 항염증 효과와 뇌 기능 강화를 위한 식단
점심 식사는 항염증 효과를 극대화하고 뇌 기능에 필요한 영양소를 균형 있게 공급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발효식품과 채소, 생선을 활용해 풍성한 식단을 구성했습니다.

메뉴 구성: 통밀 국수, 청국장 찌개, 브로콜리 겉절이, 정어리 구이, 현미 주먹밥
- 통밀 국수: 통밀가루로 만든 국수는 정제된 밀가루 국수보다 섬유질과 마그네슘이 풍부합니다. 마그네슘은 뇌 신경 세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2023년 Frontiers in Nutrition 연구에 따르면 마그네슘 섭취가 인지기능 저하를 15% 감소시킨다고 합니다(출처: Frontiers in Nutrition, 2023, Vol. 11, DOI: 10.3389/fnut.2023.1086894). 국수는 멸치 육수에 간장과 올리브유로 간을 맞춰 지중해식 스타일로 조리합니다.
- 청국장 찌개: 청국장은 나토키나제와 이소플라본이 풍부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뇌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연구에서 청국장 섭취가 뇌의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 형성을 억제한다고 밝혀졌습니다(출처: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24, Vol. 92, No. 3). 찌개에는 양파, 애호박, 두부를 추가해 영양소를 보강합니다.
- 브로콜리 겉절이: 브로콜리는 비타민 K와 설포라판이 풍부해 뇌 세포 보호에 효과적입니다. 신선한 브로콜리를 데친 후 고춧가루, 마늘, 올리브유로 양념해 겉절이로 만듭니다. 설포라판은 뇌 염증을 억제하며, 2024년 Nutrients 연구에 따르면 설포라판 섭취가 알츠하이머 모델 쥐의 기억력을 20% 개선했다고 합니다(출처: Nutrients, 2024, Vol. 16, No. 9).
- 정어리 구이: 정어리는 오메가-3와 비타민 D가 풍부해 뇌 기능과 뼈 건강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올리브유를 살짝 발라 구워 지중해식 스타일을 더합니다.
- 현미 주먹밥: 현미로 만든 주먹밥에 김과 참깃기름을 약간 첨가해 간단하면서도 영양가 높은 한 끼를 완성합니다. 참깃기름은 오메가-3를 추가로 제공하며, 김은 요오드를 보충합니다.
추가 팁: 점심 후 녹차(카테킨 함유)를 마시면 항산화 효과를 더할 수 있습니다. 카테킨은 뇌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3) 저녁: 장-뇌 축 개선과 수면 질 향상을 위한 식단
저녁 식사는 장-뇌 축을 개선하고 수면 질을 높여 뇌 건강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가벼우면서도 영양소가 풍부한 메뉴로 구성했습니다.

메뉴 구성: 보리밥, 김치 두부찜, 된장 양념 시금치, 구운 연어, 아몬드 간식
- 보리밥: 보리는 베타글루칸이 풍부해 장내 유익균을 증식시키고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장 건강은 장-뇌 축을 통해 뇌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2023년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연구에 따르면 장내 유익균 증식이 단기 기억력을 18% 향상시켰다고 합니다(출처: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2023, Vol. 15, DOI: 10.3389/fnagi.2023.1049412).
- 김치 두부찜: 김치는 유산균이 풍부해 장 건강을 지원하며, 두부는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을 제공합니다. 김치와 두부를 함께 찜 요리로 만들어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올리브유와 마늘로 풍미를 더합니다. 김치의 유산균은 뇌 염증을 억제하며, 두부의 이소플라본은 뇌 세포 보호에 기여합니다.
- 된장 양념 시금치: 시금치는 비타민 K와 엽산이 풍부해 뇌 세포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된장과 올리브유로 양념해 한국형 지중해식 스타일을 적용합니다. 엽산은 뇌의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낮춰 인지기능 저하를 예방합니다.
- 구운 연어: 연어는 오메가-3(DHA, EPA)가 풍부해 뇌 기능과 수면 질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2024년 Journal of Sleep Research 연구에 따르면, 오메가-3 섭취가 수면의 깊은 단계(REM 수면)를 15% 증가시켰다고 합니다(출처: Journal of Sleep Research, 2024, Vol. 33, No. 2). 연어는 올리브유와 허브로 간단히 구워 제공합니다.
- 아몬드 간식: 아몬드는 비타민 E와 마그네슘이 풍부해 뇌 건강과 수면 질을 지원합니다. 저녁 간식으로 5~6알 섭취하면 하루를 마무리하며 뇌에 필요한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습니다.
추가 팁: 저녁 식사 후 따뜻한 캐모마일 차를 마시면 수면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캐모마일은 진정 효과가 있어 뇌의 긴장을 완화합니다.
간식과 음료: 뇌 건강을 위한 보조 역할
하루 식단 사이에 간단한 간식과 음료를 추가해 뇌 건강을 지속적으로 지원합니다.
음료: 녹차(점심 후), 캐모마일 차(저녁). 녹차의 카테킨과 캐모마일의 진정 효과는 뇌 건강과 수면 질을 동시에 지원합니다.
간식: 호두(오전), 아몬드(오후), 블루베리(저녁). 블루베리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해 뇌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며, 2024년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연구에 따르면 블루베리 섭취가 기억력을 10% 개선했다고 합니다(출처: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24, Vol. 72, No. 12).
일주일 쉽게 따라하는 식단 계획
- 월요일
아침에는 현미밥에 두부된장국, 점심에는 통밀 비빔국수와 고등어구이, 저녁에는 잡곡밥과 된장찌개를 즐겨보세요. 상추겉절이에 올리브유를 살짝 뿌려 먹으면 풍미가 더해집니다.
- 화요일
아침은 통밀빵 토스트에 아보카도와 올리브유를 발라 먹고, 점심은 현미밥과 함께 올리브유, 마늘, 된장으로 양념한 연어구이를 먹어보세요. 저녁에는 잡곡밥과 청국장, 올리브유로 볶은 가지볶음이 좋습니다.
- 수요일
아침은 견과류와 꿀을 첨가한 그릭요거트, 점심은 보리밥에 무염 고등어찜과 취나물 올리브유 무침, 저녁은 현미밥과 올리브유와 허브로 맛을 낸 닭가슴살 구이가 좋아요.
- 목요일
통밀 팬케이크로 아침을 시작하고, 점심은 잡곡밥과 생선매운탕, 저녁은 올리브유, 마늘, 새우로 맛을 낸 통밀 파스타를 추천합니다.
- 금요일
아침은 간단하게 현미죽, 점심은 잡곡밥과 꽁치구이, 시금치 올리브유 마늘볶음, 저녁은 올리브유로 구운 두부스테이크와 현미밥이 어떨까요?
- 주말
주말에는 좀 더 여유롭게 통밀빵 샌드위치나 통밀 비빔밥, 해산물 요리를 즐겨보세요. 올리브유와 레몬, 허브로 맛을 낸 연어 마리네이드는 특별한 주말 점심 메뉴로 손색이 없답니다.
간식은 어떻게 먹을까?
간식으로는 호두나 아몬드 같은 견과류, 제철 과일, 그릭요거트, 통곡물 크래커와 아보카도 등이 좋습니다. 물론 적당량을 먹는 것이 중요하겠죠?
나만의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 만들기 TIP
- 올리브유가 낯설다면 : 처음부터 많은 양을 사용하기보다 소량부터 시작해 점차 늘려가세요. 된장, 마늘과 함께 사용하면 거부감이 줄어들어요.
- 생선 요리가 부담스럽다면 : 손질된 생선을 구입해 간단하게 구워 먹어보세요. 통조림 생선(참치, 꽁치)도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어요.
- 통곡물이 맛이 없다고 느껴진다면 : 처음에는 백미와 섞어 비율을 점차 조절해보세요. 통밀 파스타나 통밀빵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치며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은 우리 입맛에 맞게 조정하면서도 건강에 좋은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현명한 식습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하루아침에 식습관을 바꾸기는 어렵겠지만, 조금씩 시도해보면서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도 이 글을 참고해 한국형 지중해식 식단을 시도해보시면 어떨까요? 맛있게 먹으면서 건강도 챙기는 일석이조의 식단으로, 특히 뇌 건강과 인지기능 개선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더욱 추천드립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노인 인지활동과 치매 예방 – 학습지부터 디지털 프로그램까지 효과적인 두뇌 훈련법